네트워크 기술1(교환시스템)
교환 시스템
- 회선 교환 방식
- 연결형 서비스로 전화망이 대표적이다. (데이터 전송 전에 양단 사이의 고정된 연결을 설정)
- 고정대역으로 할당된 연결을 설정하여 고정된 크기의 데이터 전송을 시작 (안정적, 전용회선처럼 사용)
-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다른 연결에서 이 대역 사용 불가
- 모든 데이터가 같은 경로로 전달됨
- 데이터 전송 경로가 정해져 있으므로 라우팅 작업이 쉬움
- 단점 :
- 데이터 통신에서는 전송시간보다 휴지 기간이 더 길기 때문에 전송효율이 떨어진다.
- 송 수신측의 정보 처리 속도가 같아야 된다.
- 동시 접속이 불가하다.
- 패킷 교환 방식
- 비 연결형 서비스로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에서 주로 사용
-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 및 교환.
- 각 패킷은 독립적 라우팅 과정을 거쳐 목적지 도착
- 가변대역 전송률을 지원한다.
- 지터(jitter) : 패킷의 도착 지연시간이 가변적일 수 있어, 각 패킷들의 지연 시간 분포를 의미하는 것이 지터.
- 가상회선방식 : 패킷 전송을 동일한 경로로 한다(정적경로), 패킷을 보낸 순서와 도착순서가 같음
- 데이터그램 : 패킷 전송을 다른 경로로 한다(동적경로), 패킷을 보낸 순서와 도착 순서가 다르다.(전송할 정보의 양이 적거나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중요하지 않은 환경에서 사용)
- 장점 :
- 전송 대역의 효율적인 이용
- 호스트의 무제한 수용 가능
- 패킷에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.
- 단점 :
- 데이터 전송 지연(패킷마다 전송되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음)
- 패킷교환 방식의 과거와 현재
- 과거 : 원거리에서의 전송오류 많음, 오류 처리 위한 오버헤드 비트 많음, 처리 과정 복잡
- 현재 : 물리적인 전송오류 발생 확률 낮음, 과거의 오류 제어기능이 통신 낭비 요소, 중복되는 오류 제어기능을 빼면 전송 속도가 빨라진다.
- 이러한 차이점으로 프레임 릴레이와 셀 릴레이를 고안한다.
- 메시지 교환 방식
- 회선교환과 패킷교환의 중간 현태로 경로를 미리 설정하지 않음
- 패킷처럼 나눠서 보내는 것이 아닌 통째로(메시지) 보낸다.
- 즉, 모든 메시지가 도착사면 다른 교환시스템으로 전달한다.
- 메시지의 헤더마다 목적지 주소를 표시한다.
- 프레임 릴레이
- 동일한 속도의 전송매체로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할 수 있도록 고안한 방식
-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을 단순하게 함. (패킷교환 64Kbps, 프레임 릴레이 2Mbps)
- 셀 릴레이
- 회선교환과 패킷교환 방식의 장점을 모아 고안한 방식
- 오류제어에 대한 오버헤드 최소화
- 셀 이라는 고정크기의 패킷을 사용한다.(53Bytes)
- 2 ~ 100 Mbps 전송률을 지원